청소년 액세서리 브랜드 클레어스, 7년 만에 두 번째 파산 신청

글로벌 액세서리 브랜드 클레어스가 심각한 재정난에 직면했습니다. 미국 내 매장 폐쇄와 온라인 판매 부진으로 인해 2016년에 이어 두 번째 구조조정 절차를 밟게 되었습니다.

services_0

클레어스의 두 번째 파산 신청, 무엇이 문제인가?

클레어스는 최근 제2의 파산 보호 신청을 진행했습니다. 이는 온라인 경쟁과 쇼핑몰 산업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결정입니다. 회사는 현재 북미 지역에서 2,75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17개국에 진출해 있습니다.

파산 신청의 주요 원인은 온라인 경쟁, 소비자 지출 트렌드 변화, 오프라인 소매점 감소 등입니다. 크리스 크레이머 CEO는 이러한 결정이 어렵지만 필요한 선택이라고 밝혔습니다.

클레어스는 이번 파산 과정에서도 북미 지역 매장을 계속 운영할 계획입니다. 회사는 자산과 부채 규모를 10억에서 100억 달러 사이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쇼핑몰 문화의 쇠퇴와 온라인 쇼핑의 부상

클레어스의 쇠퇴는 전통적인 쇼핑몰 문화의 급격한 변화를 보여줍니다. 과거 십대들의 필수 쇼핑 장소였던 클레어스는 이제 온라인 경쟁에 밀리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는 더 이상 쇼핑몰을 주요 쇼핑 공간으로 여기지 않습니다.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와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Shein, Temu와 같은 저비용 온라인 리테일러들이 클레어스의 전통적인 고객층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클레어스는 심각한 경쟁 압박에 직면해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와 관세의 영향

트럼프 행정부의 높은 관세 정책도 클레어스에 큰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중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지에서 수입하는 상품의 비용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관세 인상으로 인해 회사는 소비자에게 추가 비용을 전가할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주요 고객층은 가격 인상에 소극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경제적 압박은 클레어스뿐만 아니라 Forever 21, Foot Locker 등 다른 쇼핑몰 기반 체인점들도 겪고 있는 공통된 문제입니다.

클레어스의 역사와 변화 시도

클레어스는 1961년 남부 미국의 가발 체인점으로 시작해 2000년대 초반 키치한 패션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십대 여성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브랜드였습니다.

최근에는 월마트와 파트너십을 맺는 등 온라인 시장 진출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쟁력 확보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알파 세대(2010-2024년생)의 소비 트렌드를 따라가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온라인 쇼핑 시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전통적인 소매점들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이 필수적입니다. 온라인 플랫폼 구축, 소셜 미디어 마케팅, 개인화된 고객 경험 제공이 중요합니다.

젊은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들의 니즈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해야 합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에 민첩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오프라인 매장의 장점을 살리면서 동시에 온라인의 편리성을 결합하는 옴니채널 전략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참고 : latimes.com

댓글 남기기